앞서 , 이 글은 100% 오렌지주스의 기초를 다 아시고 있다는 가정하에 쓰이는 공략 글입니다

 

일단 이게임은 주사위로 이루어진 망겜으로써 , 이 모든 운영이 의미가없을때가 좀..아니 자주있습니다

그리고 그건 당연한겁니다. 하1스스톤보다 운영 훨씬 답없을때 많습니다

그렇다하더라도 전략은 존재하기 마련이고,더 이길 가능성이 높은 선택은 항상 존재합니다

 

여기서부턴 탁상공론이니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대충 줄쳐져있는데에서 멈추시면 승리노르마를 보통 안하는 이유가 적혀있습니다

 

일단 , 이 게임의 스타와 승리의 기준은 어떻게 쌓이는지 다 아실 겁니다.

 

스타는 굳이 깊게 외우지 않아도 대충 이 정도에서 한 챕터에 1~8 정도 들어온다.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승리수만 대충 잡몹 1 사람 2 보스 3 이라고만 기억하면 됩니다

 

일단, 승리 노르마를 택하는 순간을 생각해봅시다, 최소 조건으로 생각해봐야 합니다

 

승리 노르마를 택해서 이길 가능성이 있다의 최소 조건은 1 공입니다. 0공은 안됩니다

 

물론, 가능은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1공이 아니면 14승은 거의 불가능하다.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적 플레이어 중 자신의 공격력 - 상대의 방어력이 2이거나, 1이 한두명있다

그것이 아니라면, 상대플레이어 중 자신 공격력- 상대의 회피력을 햇을때 0이고,공격력 -상대의 방어력이 +값인 상대가 한두명있다(이쪽이 더 좋음)

 

이게아니라면.

 

여기서 , 왜 그런가? 에 대한 의론이 제기됩니다

 

이 게임은, 승리수에 관해서는 상대방을 엿먹이는게 제일입니다

 

특히나, 4인 플레이를 한다고 생각하고 , 뒤에서 12승인 스타브레이커(2 0 -1)(5노르마)가 쫓아오고, 저 멀리서 202스타(5노르마) 사키(0 0 +1) 가 도망가고있다고 생각해봅시다, 그뒤에는 대충 1 -1 +2정도의 스구리가 쫓고있다 생각하고.. 당신은 방어캐인 0 +1 0..뭐, 아무튼 방어쪽이 좋은 캐릭을 선택햇습니다. 

 

그리고 당신은 110스타, 이때 당신의 체력은 2, 몬스터 조우 혹은 드랍을 할수있는 상황입니다 부활값은 5고요.

이때 , 대부분의 사람들은 드랍존으로 가게됩니다.

다만, 여기서 정답은 일부러 죽는겁니다. 

여기서의 사유를 설명하기위해, 노르마의 중요성을 알려드릴 필요가 있습니다

 

이 게임은, 원하는 숫자가 절대로 나오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항상 자신이 이길 확률이 높은 '선택'을 할필요가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3공이 나오고, 당신이 4체력입니다. 0회피라고한다면, 4 5 6으로 

 

0데미지를 맞고 살아갈수있겟군요,다만, 방어를 한다면 1~2뎀이 확정이겟죠. 다만 확률은 모두가000이라고 한다면

1뎀의 확률은 단 1/6입니다. 

 

이게임은 체력 1을 보고 넘어가는 사람따위는 없습니다.

그리고, 언제나 한방에 죽을 위험이 존재하는 게임입니다

그렇기에, 최대한 손해를 줄이고,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끌어나가는게 중요합니다

...1/2의 확률로 3뎀을 받고, 다음 상대한테 살 확률이 상대보다 무조건 1높은 숫자..36의 확률중에 단 15개.(5+4+3+2+1)

조금 손해보는 기분이 들지 않나요?

 

다만,방어를 하고 왓다고 생각하면 이 확률은 엄청나게 증가합니다

72개의 확률중. 상대에게 살아남을 확률은 3체력일때 동등하다면 방어시 죽을확률은 36중 단 6개. 회피시 36중 10개

72중 죽을 확률은 단 16개가됩니다

 

이게임의 1체력은, 살 확률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려주고. 하이퍼가 아니라면 끔살을 풀피에서 끔살당할 확률이 굉장히 적습니다.

 

그 공격쪽에 초 특화된 카에를 예시로 . 000..일단 큐피랑 싸웟을때의 변수를 살펴보죠

 

카에:선공 2 -2 +1 000 5체력(qp!)

카에공격 1 2 3 4 5 6 -> 3 4 5 6 7 8

qp방어 3공격 1뎀 혹은 2뎀. 살아남고 다음 계획 노려볼만함

4공격 1뎀 혹은 3뎀, 살아남고 다음계획 노리거나 , 일부로 자살, 혹은 도주 노려볼만함

5공격 1뎀 혹은 4뎀 동일. 많이 아픔, 살아남긴 햇지만, 일부로 자살, 도주노려야함

6공격 1뎀 혹은 5뎀 죽을수있는 최초의 경우의수. 

한번에 죽으면 그게 운명인거임

7공격 1뎀 혹은 6뎀. 아직도 살 확률이 더 높음. 죽으면 그게 운명.

8공. 2뎀 혹은 7뎀. 아직도 살 확률이 반반..

 

이후 qp가 살아남앗다고 생각한다면

 

qp 공격! 123456

카에

1공격 0뎀!(확정!)

2공격 1뎀 혹은 2뎀 (1/6으로 맞음)

3공격 1~2뎀 혹은 3뎀(2/6으로 맞음)

4공격 1~3뎀(1뎀의 확률은 1/3) 4뎀(1/2로 죽음)

5공격 1~4뎀(1뎀확률 1/6) 5뎀(4/6)

6공격 2~5뎀(2뎀 확률 1/6,죽을 확률 1/2) 회피는 1/6으로 사망.

...조금, 수지타산이 안맞습니다

그리고. 판단이 흐려지거나, 생각이 어려운 부분이 꽤나 많습니다

이 게임은 자신이 이기기위해서, 남이 이기지 못하게 수를 쓸 필요가 있습니다

그 방법중엔,일부로 죽는것도 포함되어있습니다

뭔가 이건 그냥 말만 적다보니 심심해서 넣은 승률표

이게임은, 일단은 스타를 노리라고 설명을 해줍니다. 왜일까요?

★여기서부터 이게 승리 노르마를 고르지 않는 이유입니다★

보기 귀찮으시면 대충 굵은글씨만 보시면됩니다

 

승리 노르마가 매력적으로 보이는 이유. 그것은 바로 줄어들지 않는다입니다

스타 노르마완 달리 드랍도 하지 않고, 죽엇다고 절반으로 줄지도 않고,상대와 스타가 바뀔일도없고

훔쳐지는 일도 당연히 없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게임은 스타를 모아서 노르마를 채우는걸 추천합니다. 왜일까요?

 

왜냐하면 이 게임에서의 필드의 스타의 총량은 거의 줄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게임에서 줄어드는 필드의 스타의 총량은. 단 두개입니다.

 

1.카드로 사용해서 사라진 스타

 

2.드랍

 

실제로 한 게임내에서 필드에 존재하는 스타의 양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늘어납니다

 

그리고 결국엔 200스타에 도달하게 됩니다 . 정말로 자신이 아무것도 안햇는데 스타로 우승햇어요!

 

하는 기억이 한번정도. 혹은 어라 아무것도안햇는데 왜 이렇게 스타가 많지? 하는 기억이 한번은 있으실겁니다

 

한 게임에서 존재하는 스타의 양은 맨 처음의 4플레이어의 4스타. 잡몹들의 스타. 뿐입니다

 

다만. 이게임은 계속해서 스타 페널을 밟고. 잡몹을 죽이고. 1턴마다 스타를 배분합니다

 

그렇기에 죽어서 5턴간 아무것도 안햇다 하더라도. 후반에 가면 한방 역전, 혹은 아무것도 안햇는데 스타는 120,170으로

딱히 다를바없는 대동소이한 상태가 되어버립니다

 

다르게 말하면. 망할수가 없습니다. 망햇더라도 역전의 기회가 언제나 열려있는 문입니다.

 

그걸 얼마나 운영으로 커버하고.  혹은 남들이 개판 싸울때 읭?? 모임?? 하면서 이기거나.

 

최대한 자신의 노르마를 올리고, 전략적으로 움직이거나.

 

한번 말렷더라도, 어떻게든 복구가 가능할때가 많습니다. 이게 스타 노르마의 최고의 장점입니다

 

단점은, 확정을 지을수 없습니다.

 

5노르마가 되고. 200별이 되더라도, 언제나 망할 위험이있습니다

 

..다만. 이건 함정입니다

 

죽더라도. 200별은 100별이 됩니다. 

 

그리고 그 시점이면.  10턴정도도 안되서 다시 복구할수있고. 다시 뜯어낼수있습니다

 

물론, 상대가 안죽인다면요.

 

자. 그렇다면 왜 승리를 고르는게 문제가 되느냐 생각할수있습니다

 

쌓는다고 한다면 역전을 절대 당하기 힘들고, 홈에만 들어가기만 하면 되는 승리노르만데

 

도대체 왜 이게 문제가 되지??

 

그건. 바로 한번 죽엇을때의 문제입니다

 

아시다싶이,이 게임의 평균 게임 종료 쳅터는 30중반정도입니다.길어봐야 50초반이죠

그리고 기본적으로 승리의 전제조건은, 전투입니다

 

대충...뭐. 5부활값일때 한게임에서 2번 죽는다고 쳐보죠

 

그렇다면 최소 2턴. 최대 10턴 아무것도 못하고. 그저 가만히 있어야합니다.

 

그 상황속에서도 스타는 쌓이고만 있죠

 

그렇지만 승리는 다릅니다. 

 

묵혀두면 묵혀둘수록. 가치가 바래지죠.

 

상대는 상대해줄려고 하지 않고(승리노르마+공격적 캐릭이니까)

 

상대하더라도 선공을 노려서 , 유리한 이점을 가져갈려고 합니다

 

굳이 앞으로 가지 않으면, 한번으로 끝나니까요.

 

이것또한, 승리 노르마의 약점입니다. 한턴 한턴이 급하고, 어떻게 해서든 승리 1이 다급하죠

 

한턴을 쉬어도 계속해서 이득을 축적해가는것과는 다르게, 한턴을 쉬는것 자체가 손해가 되는겁니다

 

그렇다고해서, 싸움을 멈출순 없습니다

 

왜냐면 싸우지 않으면 게임을 이길수없는 노르마기 때문이죠

 

..물론. 이걸 잘 선택하는게 플레이어긴 하지만, 승리 노르마는 항상 불확실한 길을 걸어야합니다

 

그렇기에 , 보통 1승, 혹은 달성만이 남앗을때 이걸 고르게 되죠 

 

즉, 확정적인 우승을 향한 길이기에,오히려 불확정성이 많고,확률이 낮은 선택을 계속해서 해야하는겁니다

 

물론, 확정적인 우승이란건 엄청나게 매력적이고, 절대 줄어들지 않는 노르마수는 사람의 판단을 흐리게합니다

 

쌓을수만 있다면요.

 

물론, 상황에 따라 어느 판단을 해야하는지는 당연히 달라집니다만

 

기본적으로는 점점 사람들은 스타 노르마를 선택하게됩니다

 

...그래서. 두명정도 승리 노르마를 선택하는 사람이 있으면 게임은 굉장히 재밋어집니다

 

스타 노르마를 선택하게 되는 이유는 다이스의 불확실성때문이고

 

승리 노르마를 선택하는 이유 또한 다이스의 불확실성 때문입니다

 

스타는 전투를 하더라도 자신이 이길 이유가 없고

 

승리는 운영을 하더라도 자신이 원하는대로 운영을 하기 힘들다라고 판단하는거죠 

 

어느게 옳은지는 게임이 끝나고나서야만 알수있습니다

 

단지, 이 게임의 특성상, 스타쪽으로 기울게 되는 이유는 승리가 어렵다라는걸 가면갈수록 알게되기 때문이기도합니다

 

도망가거나, 차라리 잡몹한테 죽으면 되니까요.

 

그렇게 된다면 스타의 가능성은 더욱 높아집니다

 

잡몹은 -1 -1 -1정도가 아닌이상, 계속해서 트라이해볼만 하니까요.

 

물론 승리도,스타도 아닌 그 게임만의 주사위에 맞춘 운영이 제일입니다만.

 

기본적으로 스타가 우세해지는 이유를 설명하고싶엇습니다

 

 

 

+ Recent posts